본문 바로가기

유튜브 요약/슈카월드

되풀이되는 바이오 간판스타들의 비극, 회복되어야 할 우리들의 자산 - 20201111

반응형

영상 링크: youtu.be/8QVyCt8-qcY

 

1. 코오롱티슈진 상장폐지

   - 6만여 개인 투자자 날벼락(지분 34.48%)

   - 한때 코스닥 시총 4위(최대 시총 4조)

   - 국내선 판매하던 인보사, 미 FDA 임상 중단

     (15년간 성분 잘못 알고 있었다)

   - 국내서도 결국 식약처에서 판매 중단

     (임상개발팀장 구속)

   - 최근 다시 임상 재개 승인받았지만..

 

2. 헬릭스미스 거래정지/상장폐지 가능성

   - 한때 코스닥 시총 2위(최대 시총 5조)

   - 의약품 문제도 있지만

   - 부실 사모펀드에 2600억여 원 투자

     (한해 매출의 60배가량에 해당되는 금액)

   - 바이오기업이냐 투자운용사냐

   - 투자자들 돈으로 연구개발이 아닌 위험자산 투자

   - 결국 대규모 유상증자(대표는 청약 불참)

   - 유상증자 실패 시 자본잠식->거래정지->상장폐지

 

3. 신라젠 11월에 상장폐지/거래재개 결정

   - 한때 코스닥 시총 1위(최대 시총 10조)

   - 미국서 펙사벡 임상 3상 중단

   - 자금 부족으로 전환사채 발행하기도

   - 대표이사 2206억 횡령 배임 혐의가 치명적

   - 임직원들 스톡옵션 받고 퇴사

 

4. 계속되는 바이오 열풍과 우려

   - 2010~2015년 미국에서 시작된 바이오 열풍

    (5년 동안 3배 넘게 뛰기도)

   - 다른 기업들에 비해 투자유치가 쉽다.

   - 국내 바이오벤처 4년간 1500곳 생겼다.

   - 2020년에만 제약 바이오 13곳이 상장

   - 앞서 언급한 일들이 반복되지 않길

 

 

* 요약 내용은 실제 영상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