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유튜브 요약/소수몽키

자기 제품을 쓰지 말라고 광고까지 하는 회사가 있다?(Feat. 우버와 포트폴리오) - 20200419

반응형

영상 링크: https://youtu.be/6138tu0nelw

 

1. 우버(Uber)가 최근 자기 서비스를 이용하지 말라는 광고를 냈다.

   - Stay home for everyone who can't

   - Thank you for not riding with Uber

 

2. 우버는 미국 시장 점유율 1위(69%)인 차량 공유업체

   (참고로 2위는 리프트(Lyft)로 30%)

 

3. 미국 외 지역에서 우버의 입지

   - 동남아 1위 그랩(Grab) 지분 27.5% 보유

   - 중국 1위 디디추싱(Didi Chuxing) 지분 20% 보유

   - 중동 1위 차량 공유 업체 카림(Careem) 인수

   - 인도에서는 올라(Ola)와 격전 중

   - 한국이나 유럽은 규제 및 택시업계의 반발로 보류/철수

 

4. 2020년 2월 우버 CEO가 올해 안에 흑자전환하겠다고 발표 이후 주가 상승

   - 한동안 치열한 경쟁으로 수익이 없었음

   - 현재는 코로나 19 여파로 고점 대비 -70% 가까이 급락 이후 반등 중

 

5. 우버의 포트폴리오(매출 구성)

   - 차량 공유 75.1%(27% 성장)

   - 배달(우버이츠) 18%(68% 성장)

   - 차량 공유가 메인이지만 배달사업이 빠르게 급성장중

   - 현재 미국내 음식 배달사업 점유율이 그럽허브(28%)에 이어 2위(27%)

   - 배달음식뿐만 아니라 식료품 배달까지 확대(식재료, 위생용품 등)

 

6. 결국 광고에서 말하고자 한 바는 밖에 나가지 말고 집에서 우버이츠 이용하라로 해석됨

   - 이러나저러나 수익을 낼 수 있다.

   - 포트폴리오 다각화의 중요성

   - 디즈니의 경우도 참고: https://dgb17.tistory.com/9

 

노 젓는 디즈니와 반드시 막아야 하는 넷플릭스(윈윈일까, 제로썸일까? 2020 OTT전쟁 Again) - 20200330

영상 링크: https://youtu.be/Ci3oPbhBYOI 1. 한동안 넷플릭스로부터 격차를 벌리던 디즈니 시총 규모가 코로나 19 여파로 다시 따라 잡힘 (올초 대비 디즈니 주가는 30~40%가량 빠졌고 넷플릭스는 오히려 8%가량..

dgb17.tistory.com

 

 

<내 생각>

좋은 투자를 하기 위해선 내가 투자하려는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유심히 살필 필요가 있다. 나는 지난 번 글에서 언택은 뜨고 컨택은 진다고 언급한 적이 있으며 우버처럼 언택과 컨택 모두의 비즈니스모델을 갖고 있는 기업은 이런 상황에서도 나름의 선방을 할 수 있다. 비슷한 원리로 투자를 할 때도 한 가지 업종에만 투자하지 말고 여러 가지 업종에 분산 투자하는 것도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한 방법이다. 물론 미래 성장가치가 높은 업종을 잘 가려내서 집중하는 게 가장 수익이 크겠지만...

 

* 요약 내용은 실제 영상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