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상 링크: https://youtu.be/0WBv87u565U
1. 3월 중순, WHO(세계 보건기구)에서 ibuprofen 대신 paraceteamol 성분을 권장
(결국 타이레놀을 먹으라는 건데 덕분에 전 세계에서 타이레놀 사재기에 품귀현상)
2. 타이레놀은 존슨앤존슨에서 만든다.
3. 존슨앤존슨은 어떤 회사인가?
- 메가브랜드만(연간 매출 10억 달러 이상) 12개
- 지르텍, 타이레놀, 뉴트로지나, 리스테린, 밴드에이드 등
- 매출분포: 제약 51%, 의료기기 32%, 소비재 17%
- 매출지역: 미국 50%, 유럽 23%, 아시아 태평양 19%, 기타 7%
4. 최근 코로나 19 여파에도 실적 발표 결과가 좋았으며 배당금을 6.3% 증가
(배당금 발표는 실적만큼이나 주가에 큰 영향을 주며 배당금 증가 발표 이후 주가도 4~5% 상승 마감)
5. 존슨앤존슨의 배당성향
- 58년 연속 배당금 증가
- 1972년 최초 1주당 0.00283달러
- 2020년 증액 선언 이후 1주당 1.01달러
- 3개월마다 지급
- 현재 주가 기준으로 2.5~3.5% 수준의 배당률
6. 참고로 코로나 19 여파로 미국의 많은 기업들이 배당을 중단한 상태
- 보잉, 메리어트, 포드, 델타 등
7. 배당을 유지하거나 증가시켰다는 건 비즈니스 모델이 좋고 현금흐름이 탄탄하고 주주친화적임을 반증
=> 회사 상황이 좋다는 자신감의 표현
<내 생각>
한때 우리나라는 은행에 저축만 잘해도 20%에 육박하는 예금이자와 복리의 마법으로 자산을 늘리는 게 쉬웠던(?) 시대가 있었다.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직도 본인의 자산 대부분이 물가상승률보다 낮은 이율을 제공하는 은행에 묶여있다. 주가의 배당률이 2.5~3.5% 수준이면 웬만한 은행의 예금 이자보다 높다. 더 이상 '주식은 도박이다'라는 태도를 갖고 부정적인 시선으로만 볼 게 아니라 지금 그리고 앞으로도 자산을 늘리기 위해서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투자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 될 것이다. 다만 투자 이전에 금융공부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.
* 요약 내용은 실제 영상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'유튜브 요약 > 소수몽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역대급 쏠림상황을 마주한 우리들(FAMANG을 꾸준히 살펴봐야 하는 이유) - 20200421 (4) | 2020.04.22 |
---|---|
자기 제품을 쓰지 말라고 광고까지 하는 회사가 있다?(Feat. 우버와 포트폴리오) - 20200419 (4) | 2020.04.20 |
CEO들은 지금 주식을 사고 있을까 팔고 있을까(Feat. 경영진들이 매수하면 주가는 어떻게 될까) - 20200411 (6) | 2020.04.12 |
컨텐츠를 품은 통신회사의 승부수는 먹힐까(HBO MAX는 성공할까, OTT전쟁) - 20200404 (0) | 2020.04.07 |
돌아온 콘솔게임 경쟁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(Feat. 뒤에서 웃는 엔비디아&AMD) - 20200405 (0) | 2020.04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