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영상 링크: https://youtu.be/NPabxWmCiUU
1. 대중적 인지도를 가지기 힘들어진 시대
- 한때 인기 TV 예능 시청률은 50% 나오기도
- 20년 TV 예능 시청률 최상위 10~15% 안팎
(놀면 뭐하니, 나 혼자 산다, 아는 형님 등)
- 출연자 대부분 데뷔한지 오래된 사람들
- 2010년 이후 데뷔한 국민 연예인이 잘 없다.
(글로벌 스타(가수)는 있다(BTS, 블랙핑크 등)
- 케이블TV와 종편, 유튜브, OTT 등장의 여파
- 웃찾사, 개콘 폐지와 개그맨의 유튜브로의 이동
- 특정 세대의 아이돌만 있다.
2. 유튜브 예능 전성시대
- 18년 와썹맨, 19년 워크맨 등
- 20년 유튜브 최고 예능 가짜 사나이
- 21년 머니게임(5/16 기준 누적 조회수 약 5천만 회)
- 출연진에 극한의 몰입
- 과거와는 다른 방식
(검증된 PD, 스타 -> 날것과 실험적인 인물과 컨셉)
- 탑다운에서 바탐업 방식으로(유튜브가 최적)
- 덕분에 유튜브는 초대박 중
- 반면 탑다운 방식 넷플릭스는 활성 이용자 수 감소
* 요약 내용은 실제 영상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유튜브 요약 > 슈카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눈치싸움 치열했던 한미 정상회담 - 20210525 (0) | 2021.05.25 |
---|---|
코인 시장 검은 수요일, 딜레마에 빠진 2030 - 20210524 (1) | 2021.05.24 |
-97% 한순간에 사라진 "진"도지코인 - 20210518 (0) | 2021.05.21 |
국가의 운명을 건 짊어진 510조짜리 베팅, K-반도체벨트 - 20210517 (0) | 2021.05.18 |
코로나 백신 '특허권 면제' 제안과 화들짝 놀라는 제약사들 - 20210514 (0) | 2021.05.17 |